이번에는 리눅스 권한과 관련된 글이다.
점하나 띄어쓰기 하나에도 의미가 달라지니 항상 주의해야한다.
1. chown 명령어
1) 형식 : chown [OPTIONS] USER[:GROUP] FILE(s)
▪ 파일,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한다.
▪ chown명령은 root권한으로 실행해야한다.
▪ chown USER:GROUP FILE 명령어는 해당 사용자와 그룹으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사용자와 그룹을 한 번에 바꿀 수 있다.
1-2) 예시
chown s1111111 aa
파일 aa의 소유자를 s111111로 변경했다.
2) 형식: chown :[변경할 그룹명][파일명 /디렉토리명]
▪ chown명령어의 기본 형식에서 유저명을 생략하면 해당 파일또는 디렉토리의 소유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.
2-2) 예시
chown :s1111111 aa
파일 aa의 소유그룹을 s111111로 변경했다.
2. chgrp 명령어
1) 형식 : chgrp [변경할 소유그룹][파일명]
▪ 파일, 디렉토리의 소유그룹을 변경한다.
▪ chgrp 명령도 root권한으로 실행해야한다.
▪ chown 명령어를 더 보편적으로 사용한다.
2) 예시
chgrp s1111111 aa
파일 aa의 소유그룹을 s111111로 변경했다.
3. 상대모드
chmod 명령어
1) 형식 : chgrp [변경할 소유그룹][파일명]
▪ 파일, 디렉토리의 소유그룹을 변경한다.
▪ chown 명령어를 더 보편적으로 사용한다.
▪ 권한설명 : r은 읽기, w는 쓰기, x는 실행, -는 권한 없음
▪ 권한대상 : u(user), g(group), o(other), a(all)
2) 예시
chmod g-w aaa
파일 aaa의 그룹권한(g)에서 쓰기권한(w)을 삭제(-)했다.
3) 예시2
chmod a+x aaa
파일 aaa의 실행권한(x)를 모두(a)에게 부여했다. 이제 파일 aaa에 실행권한이 생겨서 파일 aaa의 색이 초록색으로 변한다. 실행파일은 초록색으로 표시된다.
4. 절대모드
▪절대모드 권한은 기존에 부여된 권한은 무시하고 강제로 새로운 권한을 부여한다.
▪상대모드에서 3자리씩 끊어 읽던 권한을 2진수 → 10진수로 변환
▪user ,group, other 순으로 한자리 숫자로 표현한다.
▪읽기,쓰기,실행의 3권한을 모두 갖고 있으면 7로 표기한다.
▪권한은 실행권한만 있을 경우에는--x 라서 2의 0승이 되어 10진수로는 1이된다.
1) 예시
chmod 744 aaa
▪ 파일 aaa의 user 권한에는 7(rwx, 모든권한) 부여.
▪ group권한에는 4(r--, 읽기권한)부여.
▪ other권한에도 4(r--, 읽기권한)부여.
실습이 빠질 수 없지!
리눅스 상대모드 권한 표기법
상대모드에서 r은 read의 약자, w는 write의 약자다. 다른 명령도 비슷하게 단어에서 한 글자씩만 가져와 사용한다.
리눅스에서 권한 절대모드에서 상대모드로 바꿀 때는 위 예시처럼 chmod를 사용하면 된다.
참고자료
본인 그리고 소중한 구글님 그리고 Linux --help
'언어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용자와 그룹 관리 관련 명령어 (0) | 2022.03.13 |
---|---|
리눅스 실습01: VirtualBox / Ubuntu/ PuTTY 환경설정 (0) | 2022.03.13 |
파일탐색 주요명령어 : pwd, cd, ls (0) | 2022.03.13 |
리눅스 권한 획득 명령어 (0) | 2022.03.13 |
리눅스 패스워드 설정방법 (0) | 2022.03.13 |